직원의 무단결근,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요?

 

1. 무단결근의 정의 및 문제점

  • 무단결근이란 근로자가 정당한 사유 없이 사용자의 승인 없이 출근하지 않는 행위를 의미함.
  • 이는 근로제공의무 불이행으로 간주되어 노사 간 신뢰 관계를 무너뜨리는 주요 징계 사유로 작용할 수 있음.

2. 무단결근에 대한 법적 판단 기준

  • 대법원 판례(법87누980, 1989.3.14.):
    • 무단결근의 시기, 양태, 원인 등 구체적인 사정을 고려하여 판단해야 하며, 단순한 결근 일수만을 근거로 징계하는 것은 재량권 남용으로 볼 수 있음.
  • 대법원 판례(대법2008두16094, 2009.1.15.):
    • 근로자의 결근이 정당화되려면 객관적인 소명 자료(진단서 등)를 제출하고 사용자의 승인을 받아야 함.
  • 대법원 판례(대법91다17931, 1992.4.24.):
    • 사용자의 명시적인 결근계 제출 지시에 대해 근로자가 이를 무시하고 제출하지 않는다면 무단결근으로 인정됨.

3. 사례 분석: 한 기업의 고민

  • 제조업을 운영하는 한 대표가 3개월 전부터 지각이 잦아진 직원이 3일 연속 무단결근을 하며 결근계를 제출하지 않음.
  • 대표가 직원에게 결근계를 제출하라고 요구했으나, 직원은 오히려 "인권침해"라고 반발.
  • 회사 취업규칙에 따라 3일 이상 연속 무단결근 또는 1년 중 총 7일 무단결근 시 징계 가능.

4. 무단결근 직원에 대한 조치

  • 징계 절차 진행:
    • 징계 이전에 근로자에게 소명 기회를 부여하고, 인사위원회를 구성하여 공정한 절차를 진행해야 함.
  • 징계 수준 결정:
    • 징계 수단에는 해고, 정직, 감봉, 견책 등이 있음.
    • 형식적인 무단결근 일수만으로 해고하는 것은 위법 가능성이 있음.
  • 징계 해고 요건:
    • 근로자가 사용자의 반복된 결근계 제출 요청을 거부하고
    • 객관적인 사유 없이 출근하지 않으며 증빙 서류도 제출하지 않을 경우, 징계 해고 사유로 인정될 수 있음.

5. 실무 적용 시 유의점

  • 근로계약서 및 취업규칙에 명확한 규정을 포함해야 함.
  • 사전 경고 및 합리적인 절차 진행:
    • 무단결근이 발생하면 즉시 사유를 확인하고 공식적으로 경고.
    • 근로자에게 충분한 해명의 기회를 부여.
    • 공식적인 징계 절차(인사위원회)를 거쳐야 법적 분쟁을 방지 가능.
  • 인권침해 주장에 대한 대응:
    • 징계 절차가 적법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문서로 기록.
    • 법률 자문을 받아 적법성을 확보.

6. 결론

  • 무단결근은 징계 사유가 될 수 있지만, 법적 절차를 준수해야 함.
  • 단순한 결근 일수만으로 해고하는 것은 위법 가능성이 있으므로, 객관적인 소명 자료 제출 요구 및 인사위원회 절차 준수가 필수.
  • 기업은 취업규칙을 명확히 하고, 직원과의 소통을 강화하여 무단결근 문제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

출처 : IBK가 만드는 중소기업 CEO REPORT 2월호

업무 스트레스로 인한 정신질환이 산업재해로 인정될 수 있는지에 대한 사례와 법적 기준

 

1. 사례 소개

  •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를 운영하는 한 경영자가 업무 스트레스로 인해 정신질환을 주장하는 직원의 산업재해 인정 여부에 대해 고민하는 상황을 상담 요청.
  • 해당 직원은 업무 적성 문제와 과중한 업무 스트레스로 인해 우울증과 수면장애 진단을 받고 이를 산업재해로 인정해달라고 요청.
  • 회사 측에서는 업무 기인성이 불분명하다는 입장을 보이며 법적 판단 기준에 대한 상담을 진행.

2. 정신질환과 산업재해 인정 기준

  • 산업재해보상보험법(산재법) 제5조 제1호:
    • "업무상의 재해란 업무상의 사유로 인한 근로자의 부상·질병·장해 또는 사망을 의미한다."
    • 즉, 업무와 정신질환 간의 인과관계가 입증되면 산업재해로 인정될 수 있음.
  • 산재법 제37조 제1항 제2호:
    • 산업재해로 인정되는 정신질환 유형:
      1. 업무 수행 과정에서 유해한 위험 요인에 노출되어 발생한 질병.
      2. 업무상 부상이 원인이 되어 발생한 질병.
      3. 업무상 정신적 스트레스로 인한 질병.
      4. 기타 업무와 관련해 발생한 질병.

3. 업무 기인성 판단 요소

  • 근로복지공단의 판단 기준:
    1. 의학적 진단 및 소견 필수:
      • 근로자는 주치의 의견서와 대학병원 산업의학과 진단을 받아야 함.
    2. 정신질환 유형별 기준:
      • 우울장애: 최소 2주 이상 지속적인 우울 증상이 확인되어야 함.
      • 불안장애: 병적인 불안과 공포가 일상에 장애를 초래하는 경우.
      • 수면장애: 단순 피로가 아닌, 업무 시간과 관련한 수면 패턴 변화가 입증되어야 함.
    3. 업무 환경 및 직무 관련성 검토:
      • 해당 직원의 업무 강도, 업무 적성 문제, 동료와의 관계 등이 영향을 미쳤는지 조사.
    4. 과거 병력 및 개인 성향 조사:
      • 원래 정신질환을 앓고 있었는지 확인.
    5. 산업의학적 검토 및 심의 과정:
      • 경미한 경우를 제외하고 근로복지공단이 업무상질병판정위원회를 통해 심의.

4. 결론 및 시사점

  • 정신질환이 단순 개인적 문제인지, 업무 기인성이 있는지 입증이 중요.
  • 업무 부담이 객관적으로 과중하고, 정신적 스트레스로 인해 병이 발생했다는 증거가 필요.
  • 단순히 "업무가 힘들다"는 이유만으로는 인정이 어렵고, 구체적인 업무 환경 증거 및 의학적 진단이 필수.
  • 경영자는 직원 관리 시 사전 예방책(적절한 부서 이동, 업무 조정 등)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함.

결론

산업재해 인정 여부는 업무와 질병 간의 인과관계 입증 여부에 따라 달라짐. 회사 입장에서는 사전 예방과 증빙 자료를 철저히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며, 근로자는 자신의 질병이 업무에서 비롯되었음을 객관적으로 입증해야 함.

 

출처 :

'노무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원의 무단결근,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요?​  (0) 2025.03.19
근로시간  (0) 2025.02.19
실업급여 취지와 지급대상  (0) 2025.02.19

법인기업이 배당을 활용하여 절세할 수 있는 다양한 전략

 

1. 배당의 개념과 종류

배당이란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 중 일부를 주주에게 분배하는 것으로, 보통 연말에 주주총회를 통해 결정됩니다.

배당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이익배당: 결산 후 현금으로 배당하는 방식.
  • 중간배당: 회계연도 중 이사회의 결의로 이루어지는 배당(연 1회 가능).
  • 현물배당: 부동산 등 현물로 배당하는 방식.
  • 감액배당: 자본잉여금을 활용한 배당.
  • 주식배당: 주식으로 배당하는 방식.

2. 중간배당을 활용한 절세 전략

  1. 소득세 절감
    •  배당금은 지급 시 원천징수(14%, 지방소득세 포함 시 15.4%)가 이루어지며, 연간 금융소득(이자+배당)이 2,000만 원을 넘으면 종합과세(6~45%)가 적용됩니다.
    •  중간배당을 적절히 활용해 배당 시기와 금액을 조정하면 소득세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2. 가업 승계 시 세금 절감
    •  법인이 이익잉여금을 많이 보유하면 주식가치가 상승하여 상속·증여 시 세금 부담이 커집니다.
    •  중간배당을 활용하여 잉여금을 줄이면 주식가치를 낮출 수 있어 가업 승계 시 유리합니다.
  3. 가지급금 상환 및 은퇴자금 활용
    •  대표이사의 가지급금이 많을 경우, 중간배당을 활용해 이를 상계하면 인정이자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  퇴직을 앞둔 주주(대표이사 등)는 배당소득을 노후 대비 자금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4. 증여 대용으로 활용
    •  자녀나 배우자가 주주라면, 일정 부분 배당소득을 분배하여 직접적인 증여 없이 소득원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  미리 주식을 이전하는 경우, 비상장주식 평가 방법을 준수해야 합니다.

3. 주의사항

  • 배당은 주주의 지분율에 따라 이루어져야 하며, 불균등 배당 시 소득세 및 증여세가 동시에 부과될 수 있음.
  • 임원의 금융소득이 2,000만 원을 초과하면 추가 건강보험료가 부과될 수 있음.
  • 중간배당은 배당 가능한 이익(순자산가액 - 자본금 및 이익준비금) 내에서만 가능.

결론

법인기업은 배당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면 소득세 절감, 가업 승계 세금 절감, 노후 대비 및 가지급금 상환 등의 다양한 절세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무리한 배당은 예상치 못한 세금 부담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사전 검토가 필수적입니다.

 

 출처 : IBK 경제연구소 CEO Report 3월호

'회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승용차 비용처리법  (0) 2025.02.19
소득세 종류  (0) 2025.02.19
법인 보험료경비처리기준  (0) 2025.02.19

ASP11 Series Infusion Digital Syringe Pump [ASP11 주입식 초정밀주사기펌프]

 

 

 

유량범위:0.0009nl/min- 226.08ml/min
최대 채널수:2
LabVIEW 플랫폼에서 쉽게 시스템을 설정
수직형 디자인으로 설계되어 설치 공간을 50% 절감

 

[개요]

혁신적인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고해상도 LCD 터치스크린 – 직관적이고 간편한 조작

공간 절약형 컴팩트 디자인
수직형 디자인 – 설치 공간 50% 절감

강력한 작동 성능
최대 320N 조절 가능한 선형 힘 – 다양한 크기의 주사기에 최적화된 압력 제공
넓은 유량 범위 – 작동 중 실시간 유량 조정 가능
안정적이고 맥동 없는 흐름 – 미세 유체 이송에 적합

스마트한 시스템 통합 기능
 LabVIEW 드라이버 및 데모 제공 – LabVIEW 플랫폼과 손쉬운 통합
 우수한 전자기 적합성(EMC) 성능 – 전자 방사(EMI)가 높은 환경(예: 전기 방사 방사 응용)에서도 안정적 작동

다양한 제어 옵션 지원
 외부 신호 제어 및 통신 제어 지원 – RS485 인터페이스, Modbus RTU 프로토콜
 풋스위치 제어 지원 – 손쉬운 조작 가능

직관적인 사용자 알림 시스템
 경고음, 표시등, 텍스트 알림 제공 – 펌프 상태를 즉각적으로 확인 가능

맞춤형 주사기 및 유량 보정 기능
 내장된 주사기 브랜드 데이터베이스 – 손쉬운 주사기 선택 가능
 사용자 지정 주사기 매개변수 저장 및 불러오기 – 반복 사용 편리성 증대
 유량 보정 기능 제공 – 사용자 지정 주사기의 유량 정확도 향상

빠르고 효율적인 레시피 관리
레시피 매개변수 사전 설정 가능 – 빠른 호출 및 실행 지원

현장 펌웨어 업그레이드 지원
 USB 드라이브를 통한 간편한 펌웨어 업그레이드 지원

 

[특징]

 

01. 고해상도 LCD 터치스크린, 사용이 간편함

 

 

 

  • 직관적이고 뛰어난 그래픽 인터페이스로 효율적인 쌍방향  인터페이스지원
  • 펌프 상태, 알람, 작동 가이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신속하고 편리한 설정 및 사용 지원

02. 작은 크기, 강한 선형 힘 – 0.5μL~150mL 주사기 사용 가능

  • 최대 320N까지 조절 가능한 선형 힘을 제공하여 다양한 주사기 크기에 최적화된 압력 제공.
  • 견고하고 사용하기 쉬운 주사기 홀더는 최대 150mL까지 장착 가능 (펌프 모델에 따라 다름).

03. 외부 신호 또는 통신 명령을 통한 펌프 제어, 시스템 설정 용이.

  • 풋스위치 제어 지원으로 손을 자유롭게 사용 가능.
  • 외부 신호 제어 기능을 통해 다른 컨트롤러가 펌프의 시작 및 정지를 제어할 수 있음.
  • 통신 제어 기능을 통해 다른 컨트롤러가 매개변수를 설정하고 펌프를 원격으로 운영 가능.

04. ASP100 시리즈는 측면으로 배치할 수 있어 공간 절약 가능 (50% 절감).

 

  • 제한된 실험대 공간에 적합한 디자인.
  • 수직형 작동 방식으로 90도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 지원.

05. 유량을 실시간으로 조정 가능.

  • 펌프가 작동하는 동안 유량을 조정할 수 있어 실시간으로 매개변수를 최적화하고 비용 절감 가능.

06. 경고음, 표시등 및 텍스트 알림을 통한 사용자 지원.

  • 키패드 클릭, 작업 완료, 오류 알람 등을 경고음으로 안내.
  • 녹색(Green): 작동 중 / 파란색(Blue): 대기 상태 / 빨간색(Red): 경고 상태.
  • 텍스트 알림을 통해 펌프 상태 표시 및 작동 절차 안내.

 

[규격]

 

  ASP11-1A ASP11-1AP ASP11-2AP
Work Mode Single Infuse, Multi Infuse
Number of Syringes 1 1 2
Syringe Options 0.5μL-60mL
Flow Rate for     
Reference
0.0033nL/min-120mL/min 0.0009nL/min-29.5mL/min
Stroke 110mm
Stroke Resolution 0.0326μL/microstep 0.0088μL/microstep
Linear Speed Range 0.416μL /min-180mm/min 0.1126μL /min-35.4mm/min
Stroke Control          Accuracy ≤±0.35% (When travel≥30% of stroke)
Maximum Linear     
Force
320N (can be set 20%-100%)
Built -In Syringe Common Syringe brands and Models on the market
User-defined         
Syringe
Travel ≤ 110mm, 6.75mm ≤ OD ≤31mm
Calibration Improve flow rate, volume precision and accuracy by calibrating the user-defined syringe
Display 4.3 inch LDC for parameters and pump status
Parameter method 20 parameter Methods can be stored and easily recalled
Control Mode Touchscreen, External, Communication, Footswitch, Labview Control
External Control Two control inputs: switch signals or level signals for start/stop and emergency stop                Two status outputs: can be configured as start/stop direction or fault alarm
Communication     
Control
RS485; Modbus RTU; Longer OEM protocol
Real-time adjustment The flow rate can be adjusted while the pump is running
Audible alert Keypad Clicks, Completion of work, and Fault alarm
Indicator Light Green-Running, Blue-Standby, Red-Warning
Screen Lock The Screen can be locked to prevent misoperation
Vertical Display The display will rotate 90 degrees to support vertical operation
Pump status
when power up
Stop
Fast forward/
backward
Infusion or Withraw at full speed
EMC CE/UKCA Certified
Dimensions 240mm × 180mm × 137mm
Power Supply for 
adapter
AC 90V-260V
Power Supply for 
pump
DC24V/15W DC24V/10W
Operating   
Temperature
0℃-40℃
Humidity ≤80%RH, No Condensation
Weight 2.8Kg 2.9Kg 2.85Kg

 

 

[주문정보]

 

Product Model ASP11-1A ASP11-1AP ASP11-2AP
Syringe Syringe ID(mm) Flowrate for reference
0.5 μL 0.10 0.0033nL/min-0.0014mL/min 0.0009nL/min-0.0003mL/min
5 μL 0.35 0.040nL/min-0.0173mL/min 0.0108nL/min-0.0034mL/min
10 μL 0.50 0.0816nL/min-0.0353mL/min 0.0221nL/min-0.0069mL/min
25 μL 0.80 0.2090nL/min-0.0904mL/min 0.0566nL/min-0.0178mL/min
50 μL 1.10 0.3951nL/min-0.1710mL/min 0.1070nL/min-0.0336mL/min
100 μL 1.60 0.8360nL/min-0.3617mL/min 0.2263nL/min-0.0711mL/min
250 μL 2.30 1,7275nL/min-0.7475mL/min 0.4676nL/min-0.1470mL/min
500 μL 3.25 3.4493nL/min-1.4925mL/min 0.9336nL/min-0.2935mL/min
1 mL 4.72 7.2752nL/min-3.1479mL/min 1.9692nL/min-0.6191mL/min
5 mL 13.10 56.041nL/min-24.248mL/min 15.169nL/min-4.7689mL/min
10 mL 16.60 89.987nL/min-38.937mL/min 24.357nL/min-7.6575mL/min
20 mL 19.00 117.89nL/min-51.009mL/min 31.909nL/min-10.032mL/min
30 mL 23.00 172.75nL/min-74.748mL/min 46.759nL/min-14.700mL/min
60 mL 29.14 277.30nL/min-119.98mL/min 75.056nL/min-23.597mL/min

 

dLSP 501X 시리즈  정밀 주사기 펌프 (Syringe Pump)

(주)동방하이테크상사 www.allpump.co.kr

 

1. 제품 개요

  • 제품군: dLSP 501X 시리즈
  • 용도: 정밀 주사기 펌프 (Syringe Pump)
  • 적용 분야: 실험실, 생명과학, 제약, 미세유체학, 전기방사 등

2. 주요 특징

  • 다양한 작업 모드 지원:
    • Infusion (주입) / Withdrawal (흡입) / Infusion-Withdrawal (혼합 모드)
    • 자동 반복 주입프로그래밍 모드 지원
  • 고정밀 유체 제어
    • 초미세 유량 조절이 가능하며, 정밀한 선형 이동을 제공
    • 전자기 간섭(EMC) 차단 기능으로 안정적인 작동 보장
  • 사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
    • 7인치 풀 터치스크린(고해상도) 제공
    • 전용 PC 소프트웨어 및 Android 앱을 통한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
  • 다양한 연결 옵션
    • 유선 및 무선 연결 가능 (RS485, USB, Ethernet, WiFi, Bluetooth 등)
  • 데이터 보안 및 관리
    • 전자 서명 및 로그 기록 기능 (FDA 21CFR Part 11 준수)
    • 다단계 사용자 접근 제어(관리자, 개발자, 운영자 모드)

3. 성능 및 사양

  • 채널 수: 1채널 / 2채널 / 4채널 모델 제공
  • 정밀도: ±0.35%~±0.5% 내 오차율 유지
  • 적용 가능 주사기 크기: 0.5μL ~ 60mL (모델별 차이 있음)
  • 유량 범위: 최소 0.0003nL/min ~ 최대 120mL/min
  • 최대 추력: 40lbs (약 18kg)
  • 전원 공급: AC 100V240V, 20W30W (모델에 따라 다름)

4. 인터페이스 및 연결성

  • 조작 방식:
    • 터치스크린, PC 소프트웨어, Android 앱, 풋스위치(옵션)
  • 입출력 포트 지원:
    • RS485, USB-A, USB-B, Ethernet, WiFi, Bluetooth
    • 솔리드 스테이트 릴레이 출력(3개), 스위치 신호 입력(2개), 4-20mA 신호 입력(옵션)
  • 프로그래밍 기능:
    • 유량 설정, 루프, 시간 지연, 반복 실행, 이벤트 트리거 가능

5. 환경 및 내구성

  • 작동 온도: 5℃~40℃
  • 습도 조건: 85% 미만
  • IP 등급: IP31 (방진 및 방적 보호)
  • 무게: 컨트롤러 0.4kg, 드라이브 유닛 3.5kg~4kg (모델별 차이)

6. 적용 가능한 주사기 및 유량 범위

  • 주사기 크기별 유량 범위 (nL/min ~ mL/min)
    • 0.5μL: 0.0003 ~ 0.0007mL/min
    • 5μL: 0.004 ~ 0.008mL/min
    • 50μL: 0.038 ~ 0.082mL/min
    • 1mL: 1.458 ~ 3.150mL/min
    • 10mL: 8.657 ~ 18.699mL/min
    • 30mL: 16.619 ~ 35.897mL/min
    • 60mL: 26.677 ~ 57.621mL/min

7. 인증 및 규격

  • FDA 21CFR Part 11 준수 (전자 서명 및 데이터 관리)
  • CE (TUV) 인증
  • GMP 규정 준수
  • 21CFR Part 11 준수 기능 포함 (전용 PC 소프트웨어 지원)

*******************************************************************************************************************
(주)동방하이테크상사  
http://www.allpump.co.kr 
서울시 성동구 광나루로6길 35 성수이비즈센터 710호
T)02-457-6292  F)457-6293  dbht@allpump.co.kr
*******************************************************************************************************************
정량펌프, 정밀펌프, 고압펌프, 마이크로펌프, OEM 펌프, HPLC 펌프, 피스톤펌프, 주사기펌프, 실린지펌프, 다이어프램펌프, 다이아프램펌프, 튜브펌프, 튜빙펌프, 호스펌프, 연동펌프, 기어펌프, 기아펌프, 플런져펌프, 부란자펌프, 초정밀펌프, 초미세펌프, 초고압펌프, 밸브, 피팅, 튜빙, 아답터, 크로마토그래피 제품, 연구실험기자재 등

dLSP 500 시리즈는 실험실 및 연구 환경에서 정밀한 유체 전달이 필요한 작업에 적합한 주사기 펌프이며, 다양한 주사기 크기와 유량 범위를 지원합니다. 터치스크린, 원격 제어 기능, 다중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접근 제어 기능이 탑재되어 있으며, 의료 및 제약 연구에도 적합한 장비입니다.

 

(주)동방하이테크상사 www.allpump.co.kr

 

1. 제품 개요

  • 제품군: dLSP 500 시리즈
  • 모델: dLSP 510, dLSP 520, dLSP 540, dLSP 5A0, dLSP 510 Pro, dLSP 520 Pro
  • 용도: 실험실용 주사기 펌프 (Laboratorial Syringe Pump)

2. 주요 특징

  • 다양한 작업 모드 지원 (Infusion, Withdrawal, Auto Repeat, 프로그래밍 모드)
  • 정밀한 유체 전달 및 전자기 간섭(EMC) 방지 성능 우수
  • 7인치 풀 터치스크린 및 직관적인 그래픽 인터페이스
  • 전용 PC 소프트웨어 및 Android 앱을 통한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
  • 지능형 진단 및 음성 알림 기능 (작동 상태 및 오류 감지)
  • 사용자 접근 제어 및 로그 기록 기능 지원 (FDA 21CFR Part 11 준수)
  • 다양한 무선 연결 옵션 (WiFi, Bluetooth)

3. 성능 및 사양

  • 채널 수: 1채널 또는 4채널 (모델별 차이 있음)
  • 정밀 제어: 마이크로스텝당 최소 0.015625μm (초정밀 제어 가능)
  • 유량 범위: 0.0003nL/min ~ 120.044mL/min (사용하는 주사기 크기에 따라 다름)
  • 적용 가능 주사기: 0.5μL ~ 60mL (최대 외경 OD 31.5mm)
  • 추력: 최대 40lbs (18kg) 조절 가능
  • 정확도: ±0.35% ~ ±0.5% 내 정밀한 선형 이동
  • 전원: AC 100V-240V, 20W 또는 30W (모델별 차이 있음)

4. 인터페이스 및 연결

  • 터치스크린 조작, 전용 PC 소프트웨어 및 Android 앱 제어 지원
  • 입출력 인터페이스: RS485, USB-A, USB-B, Ethernet, Footswitch (옵션)
  • 입출력 신호 지원:
    • 출력: 솔리드 스테이트 릴레이 (3개)
    • 입력: 스위치 신호, TTL 신호, 4-20mA 신호(옵션)

5. 추가 기능

  • 실시간 클럭 및 파라미터 저장 기능
  • 알람 및 진단 기능 (작동 종료, 전원 켜짐, 모터 정지 등 감지)
  • 전자 서명 및 감사를 위한 데이터 기록 기능 (GMP 규격 준수)
  • 화면 잠금 및 다단계 사용자 접근 제어 (관리자, 개발자, 운영자)

6. 환경 및 물리적 사양

  • 작동 온도: 5℃~40℃
  • 습도 조건: 85% 미만
  • IP 등급: IP31 (방진 및 방적 기능)
  • 무게: 컨트롤러 0.4kg, 드라이브 유닛 3.5~4kg (모델별 차이)

7. 지원하는 주사기 및 유량 범위

  • 주사기 내경(mm)에 따른 유량 범위:
    • 0.5μL: 0.0003nL/min ~ 0.0007mL/min
    • 5μL: 0.004nL/min ~ 0.008mL/min
    • 50μL: 0.038nL/min ~ 0.082mL/min
    • 1mL: 1.458nL/min ~ 3.150mL/min
    • 10mL: 8.657nL/min ~ 18.699mL/min
    • 30mL: 16.619nL/min ~ 35.897mL/min
    • 60mL: 26.677nL/min ~ 57.621mL/min

8. 인증 및 규격

  • CE (TUV) 인증
  • FDA 21CFR Part 11 규정 준수
  • GMP 규정 준수
  • 21CFR Part 11 지원 (PC 소프트웨어 기반)

 

*******************************************************************************************************************
(주)동방하이테크상사  
http://www.allpump.co.kr 
서울시 성동구 광나루로6길 35 성수이비즈센터 710호
T)02-457-6292  F)457-6293  dbht@allpump.co.kr
*******************************************************************************************************************
정량펌프, 정밀펌프, 고압펌프, 마이크로펌프, OEM 펌프, HPLC 펌프, 피스톤펌프, 주사기펌프, 실린지펌프, 다이어프램펌프, 다이아프램펌프, 튜브펌프, 튜빙펌프, 호스펌프, 연동펌프, 기어펌프, 기아펌프, 플런져펌프, 부란자펌프, 초정밀펌프, 초미세펌프, 초고압펌프, 밸브, 피팅, 튜빙, 아답터, 크로마토그래피 제품, 연구실험기자재 등

+ Recent posts